뉴스룸

시황뉴스 2025-04-30 상품시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귀금속보석거래소 조회 16회 작성일 25-04-30 09:48

본문

e71dfbe049eed56af8e32ec20087f6e7_1729499680_15.jpg


상품시황


: 골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완화 루머에 약보합


-금일 골드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를 완화할 수도 있다는 소문에 반응, 시장이 관세 위협이 어느 정도 정점을 찍었다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이에 골드는 소폭 하락하였으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약보합 수준으로 마감


-ING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17개의 주요 무역 상대국과 무역 협상으로 나아감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완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오늘 금 가격이 1%가량 하락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미-중 무역 협상에서의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으며, 경제 불안으로 인한 금 수요는 유지되는 만큼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수요는 여전히 굳건할 것"이라고 하락은 일시적이라 언급


-현지시간 30일(수) 예정된 ADP 취업자 변동, GDP 물가지수, PCE 물가지수 등 중요 지표가 산적해있어,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


-FXSTREET "기술적으로 금 랠리는 그 추진력을 점점 잃고 이익실현 압력이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으로부터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하나둘씩 철회될 것이라는 뉴스들이 계속 나옴에 따라 시장 참여자들이 금에 대한 노출을 줄여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조정 발생을 경계해야 할 것"이라 언급




달러/원 환율


: 경기 부진 향하는 美 지표 


30일 달러-원 환율은 하락세로 출발할 전망이다.


미국 경제가 부진에 빠질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여전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협상을 끝낸 국가가 있다는 '낭보'가 전해졌으나 국가와 내용이 베일에 싸여 있어 영향력을 크게 발휘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미국 경제의 가늠자가 되는 지표들은 계속해서 '성장 악화'를 가리키고 있다.


지난 3월 구인 건수는 719만 2천 건으로 집계됐는데 작년 9월 이후 최저다. 노동 수요가 위축됐음을 시사한다.


소비 심리도 심상치 않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86.0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왔다.


소득·사업·노동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단기 전망을 반영한 '기대 지수'가 13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정도로 급락하는 등 비관적인 경제 전망이 엿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경제가 곧 황금기를 되찾을 것처럼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으나 녹록지 않은 현실이 확인되는 모습이다.


텍사스 지역의 제조업 업황이 5년 만에 최악이라는 지표가 나온데 이어 고용, 소비 심리 등 곳곳에서 부진의 징후들이 감지된 것은 미국 경제를 낙관할 수 없게 한다.


이런 배경에 트럼프 대통령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려운 가운데 미국 경제의 악화 신호가 더 뚜렷해질 경우 달러-원도 내리막을 피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중국과 벌이는 첨예한 무역 갈등도 달러-원을 내리누른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무역 질서 재편으로 국익을 쟁취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하지만 핵심 협상 상대국인 중국이 쉽게 굴복하지 않을 분위기다.


전날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 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은 미국을 '불량배'로 지칭하면서 신흥국들과 연대해 관세 부과에 맞서야 한다고 했다.


미국이 해결을 원하면 위협을 멈춰야 한다는 중국 상무부의 입장이 나오는 등 미국과 중국이 협상의 첫발도 떼지 못한 정황들이 엿보인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관세를 철폐해야 할 책임은 중국에 있다며 책임을 떠넘겨 향후 협상 과정에서의 진통을 예상케 한다.


양국이 관세 협상에 있어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다가도 이내 각을 세우는 불확실성은 시장에 상당한 부담이다.


미국이 무역 협상을 끝낸 국가가 있다고 밝혔는데도 달러 인덱스가 여전히 100을 밑돌며 크게 반응하지 않은 것은 이런 부담감을 보여준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전날 "이미 합의가 마무리된 협상이 있지만 그들의 총리와 의회가 승인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며 "곧 승인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중국과 합의일 가능성은 희박한 가운데 협상 타결 국가와 구체적인 내용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현재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10여 개국과의 협상에 긴밀히 관여하고 있다는 입장인데 만약 협상 타결 국가와 구체적인 내용이 순조로운 협상을 기대하게 할 경우 달러화 상승 시도의 명분이 될 수도 있다.


수급 측면에서는 결제 및 해외 투자 환전 수요와 월말을 맞아 나올 수출업체 네고가 공방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


달러-원은 이날 장중 수급 상황에 따라 오르내리며 새로운 하단을 찾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1분기 국내총생산(GDP)을 발표한다.


시장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경제 성과를 확인할 GDP 발표를 앞두고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 물은 지난밤 1,429.45원(MID)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 물 스와프포인트(-2.85원)를 고려하면 전장 서울 외환시장 현물환 종가(1,437.30원) 대비 5.00원 내린 셈이다.

TOP